IT 42

[Jquery] Serialize와 SerializeArray의 개념 (Feat.Ajax)

Serialize 와 SerializeArray Serialize 와 SerializeArray 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둘다 JQuery에서 제공하는 직렬화 메소드 이다. Jquery(제이쿼리)란?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이다. html 요소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재되어있다. 자바스크립트는 동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지만, 코드가 너무 길어지고 복잡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제이쿼리를 사용하면 같은 기능도 더 간략하고, 단순한 코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제이쿼리에는 자바스크립트의 코드를 단순하게 변경하고 Html 요소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라이브러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주로 JSP 개발할 때 자주 사용한다 :) 제이쿼리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알아보았으니 Serialize..

Front-end 2024.02.22

[DB] 스프링부트 트랜잭션 @Transactional

Spring Boot 의 트랜잭션 : @Transactional 3탄에서는 스트링부트에서의 트랜잭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Transactional 이란? Spring Boot에서 @Transactional은 트랜잭션 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소드 또는 클래스 레벨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메소드 또는 클래스 내에서 실행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하나의 트랜잭션 묶여서 처리가 되며, 트랜잭션이 적용된 메소드 또는 클래스에서 작업 실행 중 예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롤백(Rollback)하여 이전 상태로 되돌려준다. 1. 트랜잭션 시작 2. 데이터베이스 연결 3. 요청 실행 4. 예외 발생 여부 확인 5-1.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변경 내용을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트랜잭션 종료 커밋(Commit) ..

DB 2024.02.21

[Redis] 레디스 비밀번호 오류 해결 - ERR invalid password, ERR Client sent AUTH, but no password is set, (error) noauth authentication required

✨ 레디스 암호 관련 오류 정리 ✨ - ERR invalid password - ERR Client sent AUTH but no password is set - (error) noauth authentication required 로컬에서 테스트를 하는데, 아래 박스안에 있는 에러 메세지와 함께 레디스 호출을 실패하였다. 그 이유는 " 프로퍼티에 선언된 레디스 비밀번호와 내 로컬 레디스 비밀번호가 달라서 오류가 발생했다." 분명, 내 로컬 레디스에 비밀번호를 설정 해놨고.. 그동안 레디스가 잘 실행이 되었는데 컴퓨터가 재부팅이 되면서 비밀번호 설정한게 초기화가 되었나보다... 비밀번호와 관련된 레디스 오류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org.springframework.data.redis.RedisCon..

오류 분석 2024.02.17

[JS] JavaScript vs ECMAScript 차이

JavaScript vs ECMAScript 자바스크립트와 ECMAScript 의 차이점이 궁금해서 정리해 보았다. 둘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첫 번째, Jav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ECM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표준이다. ECMAScript는 JavaScript가 갖추어야 할 내용을 정리해둔 '설명서'이고, JavaScript는 ECMAScript를 준수해서 만들어낸 '결과물'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참고로, ECMAScript가 JavaScript화 하기 위해 등장하긴 했지만, ECMAScript는 JavaScript 뿐만아니라 모든 스크립트 언어(scripting languages)가 지켜야 하는 표준이다. 두 번째, JavaScript는 ECMAScript를 기반이지만..

Front-end 2024.02.16

[IT]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 MVC 패턴

소프트웨어 디자인패턴 중 MVC 패턴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  MVC 패턴은 흔하게 쓰이는 디자인 패턴 입니다.주로 Spirng Web Prjoect에서 흔하게 쓰이며, - 구글의 AngularJS- php의 코드이그나이터- python-django 에서도 쓰입니다.  MVC 패턴Model-View-Controller (모델-뷰-컨트롤러)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MVC는 Model(모델) - View(뷰) - Controller(컨트롤러) 의 약자입니다.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고 보는 페이지와 (View)데이터 처리를 하는곳과 (Model)이 두가지를 중간에서 제어하는 컨트롤러 (Controller) 개발을 할 때 3가지 형태로 역할을 나누어 개발하는 방법론입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

Back-end 2024.02.15

[IT] 좋은 코드란 무엇일까? Feat.클린코딩의 중요성

좋은 코드란 무엇일까? Feat.클린코딩의 중요성 개발자에게 좋은 코드란 과연 무엇일까 ? 개발자에게 좋은 코드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전에, 프로그래밍에서 말하는 추상화는 무슨 의미를 가지고있을까? 프로그래밍 추상화(Abstraction)란? 프로그래밍에서 '추상화(Abstraction)' 는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개발자간의 원활한 소통방식을 위해 필요하다. 추상이란? 여러가지 사물이나 개념에서 공통되는 특성이나 속성 따위를 추출하여 파악하는 작용을 뜻한다. 구체적인 정보 → 꼭 필요한 핵심 즉, 복잡한것들을 목적에 맞게 단순화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1️⃣ 목적을 명확하게 2️⃣불필요한 것들은 숨기기 3️⃣핵심만 드러내기 좋은코드 란? 그러면 좋은 코드란 무엇일까? 주니어 개발자로서 개발자에게 ..

[Spring] 데이터 전송 - @RequestBody, @RequestPart, JSON, multipart/form-data

@RequestBody, @RequestPart, JSON, multipart/form-data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관련 어노테이션과,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인코딩 방식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먼저 스프링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 관련 어노테이션에 대해 알아보자. 데이터 전송 관련 어노테이션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은 HTTP 요청의 본문(body)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와 해당 데이터를 메소드 파라미터에 바인딩한다. 주로 JSON 또는 XML과 같은 데이터 형식을 읽을 때 사용된다. @RequestPart 어노테이션은 multipart/form-data 형식으로 전송된 요청의 파트(part)를 읽어와 메소드 파라미터에 바인딩한다. 이것은 주로 파일 업로드와 함..

Back-end 2024.02.01

[오류] HTTP 응답 오류 - 301 Moved Permanently 오류 (Feat.SSL)

API 호출시 301 Moved Permanently 오류 해결방법 요즘 회사에서 다양한 업체의 API 연동을 하고있다. API 연동 작업 후 호출을 하면, 301 Moved Permanently 위와 같은 오류가 종종 발생하여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우선 HTTP응답에 대해 알아보자.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어떠한 요청(Request)를 하면 서버는 응답(Response)를 보내주는데, 정상적으로 처리가 완료 되면 성공 응답이 돌아오고, 정상적으로 처리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실패 응답이 돌아온다. HTTP 응답 상태코드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만들어져 있으며, 첫번째 자리는 1에서 5까지 제공된다. 1xx(정보) :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합니다...

오류 분석 2024.01.27

[오류] SSL Exception - SSL 인증 오류 (Feat.https)

SSL Exception (SSL 오류) SSL 인증 오류와 해결 방법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이 오류는 http통신이 아닌 https를 통신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이다. 이 오류에 대해서 알려면, SSL개념에 대해 알아야하니 먼저 SSL 개념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SSL( Secure Socket Layer )이란? 개인정보 보호, 인증,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Netscape가 1995년 개발했다. SSL의 인지도가 월등히 높고 사용량이 많아서 대게 SSL/TLS를 SSL로 부르기도 한다. https를 통한 인터넷 접속은 브라우저를 실행 중인 우리 컴퓨터가 해당 사이트의 서버와 암호화 통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https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은 SSL을 이용한 것이라..

오류 분석 2024.01.26

[I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알아야할 기본 개념 중 하나인 API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먼저 API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역할과 유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 API " 💻목차 - API, 인터페이스 정의 - API 역할 - API 유형 API와 인터페이스의 사전적 정의 - API란?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이다.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 위키백과 -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컴퓨터 시스템끼리 정보를 교환하는 공유 경계를 의미한다. -위키백과 API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고 쉽게 설명을 해보자면, API는 레스토랑의 점원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