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6

[ERD] 이클립스 ER Master 사용법 그리고 ERD 추출, JAVA DOC 추출시 인코딩 에러 해결

이클립스 ER Master 사용법 그리고 ERD 추출, JAVA DOC 추출시 인코딩 에러 해결   매번 회사에서 만들어진 테이블에 컬럼만 추가해봤는데 이번에 직접 DB설계를하게 되었다.. 🙄 그래서 ERD설계를 해야하는데.... 무료 ERD툴이 많지만회사에서 이클립스로 프로젝트를 개발 하기도 하고,회사분들이 ERMASTER를 사용하고 계시기때문에ERMaster를 이용해서 ERD를 만드는게 편할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혹시라도 문제 생기거나 그럴때 빠른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ㅋ)  그리고 편하다고 생각한 이유는DDL 코드, JAVA DOC 추출 , 엑셀 문서화 등을 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이다.ERMaster를 ERM으로 부르기도 한다.  🔍 무료 ERD도구 사이트 혹시나, Ermaster 대신 무료툴..

DB 2024.07.11

[DB] 트랙잭션(Transaction)개념과 접근방식

Transaction(트랜잭션) 개념과 접근방식 프로그래밍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 은 아주 기본적이고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랜잭션의 정의와 작동 방식, 트랜잭션을 다루는 주요 접근 방식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이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개발 과정에서의 오류 대응과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 로직을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특히, 트랜잭션 오류는 실제 개발 환경에서 자주 발생하는 이슈 중 하나이므로, 기본기를 탄탄히 다져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트랜잭션이란?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하나의 작업 단위입니다.즉, 하나 이상의 쿼리를 묶어 논리적으로 하나의 작업처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모든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 데이터베이..

DB 2024.03.05

[DB/SQL] 뷰(View) 그리고 프로시저(Procedure) 개념

뷰(View)와 프로시저(Procedure) 개념 테이블(Table)이나 쿼리(Query)는 익숙하지만,뷰(View)나 프로시저(Procedure)는 상대적으로 생소하게 느껴져서 이번 기회에 개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제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는 뷰와 프로시저를 자주 사용하진 않지만,실제로 사용하는 기업도 많기 때문에 개념만이라도 알고 있으면 실무에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해당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1. 뷰(VIEW)란? 뷰는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일종의 가상테이블 입니다. 가상테이블이란? 이름 그대로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은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말 그대로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특정 SQL 쿼리문을 저장하여 데이터를 조회만 할 수 있는 테이블 형태 입니다.V..

DB 2024.02.29

[DB] 스프링부트 트랜잭션 @Transactional

Spring Boot 의 트랜잭션 : @Transactional 3탄에서는 스트링부트에서의 트랜잭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Transactional 이란? Spring Boot에서 @Transactional은 트랜잭션 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소드 또는 클래스 레벨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메소드 또는 클래스 내에서 실행되는 모든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하나의 트랜잭션 묶여서 처리가 되며, 트랜잭션이 적용된 메소드 또는 클래스에서 작업 실행 중 예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롤백(Rollback)하여 이전 상태로 되돌려준다. 1. 트랜잭션 시작 2. 데이터베이스 연결 3. 요청 실행 4. 예외 발생 여부 확인 5-1. 성공적으로 실행되면 변경 내용을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트랜잭션 종료 커밋(Commit) ..

DB 2024.02.21

[SQL] MySql에서 함수를 사용하는것과 사용하지 않는것에 대한 속도 차이

MYSQL 쿼리 속도 차이 함수를 사용하는것과 사용하지 않는것에 대한 속도 차이 오늘은 MySql 쿼리 속도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함수를 사용하는것과 사용하지 않는것에 대해서 속도 차이가 있다고하여 직접 테스트를 진행 해보았다 ! 회사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 테이블 중 코드를 관리하리 테이블이 있는데, 이 테이블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즉, 하드코딩을 하지 않기 위해 사용되는 테이블이다. 코드값과 코드명 등 저장하는 테이블을 아래 표에 정리해 보았다. GROUP_CODE CODE CODE_NAME STATUS ## 상태 STATUS READY 준비 STATUS COMPLETE 완료 STATUS CANCEL 취소 코드값(CODE) → 코드이름(CODE_NAME) 코드이름(CODE_NAME..

DB 2024.01.07

[DB] DBeaver(디비버)로 Tibero(티베로) 연결하기

DBeaver로 티베로(Tibero) 연결하기 DBeaver(디비버)를 이용해서 티베로 데이터 베이스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DBeaver란? DBeaver는 SQL 클라이언트이자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경우, API를 사용하여 JDBC 드라이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한다. 그 밖의 데이터베이스(NoSQL)의 경우 사유 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를 사용한다. 디비버(DBeaver)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해주는 데이터베이스들이 있는데, 티베로(Tibero) 같은 경우에는 따로 없기 때문에직접 추가를 해줘야한다. 디비버가 무엇을 하는지 알아 보았으니 이제, 디비버에 티베로 데이터베이스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한다. 1. 데이터 베이스(Database) > 드라이버..

DB 2023.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