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지식 이것 저것 8

[IT] 좋은 코드란 무엇일까? Feat.클린코딩의 중요성

좋은 코드란 무엇일까? Feat.클린코딩의 중요성 개발자에게 좋은 코드란 과연 무엇일까 ? 개발자에게 좋은 코드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전에, 프로그래밍에서 말하는 추상화는 무슨 의미를 가지고있을까? 프로그래밍 추상화(Abstraction)란? 프로그래밍에서 '추상화(Abstraction)' 는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개발자간의 원활한 소통방식을 위해 필요하다. 추상이란? 여러가지 사물이나 개념에서 공통되는 특성이나 속성 따위를 추출하여 파악하는 작용을 뜻한다. 구체적인 정보 → 꼭 필요한 핵심 즉, 복잡한것들을 목적에 맞게 단순화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1️⃣ 목적을 명확하게 2️⃣불필요한 것들은 숨기기 3️⃣핵심만 드러내기 좋은코드 란? 그러면 좋은 코드란 무엇일까? 주니어 개발자로서 개발자에게 ..

[IT]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알아야할 기본 개념 중 하나인 API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먼저 API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역할과 유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 API " 💻목차 - API, 인터페이스 정의 - API 역할 - API 유형 API와 인터페이스의 사전적 정의 - API란?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이다.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 위키백과 - 인터페이스(Interface)란? 컴퓨터 시스템끼리 정보를 교환하는 공유 경계를 의미한다. -위키백과 API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하고 쉽게 설명을 해보자면, API는 레스토랑의 점원과 ..

[WEB] 웹 3대 요소 - HTML, HTTP, URI

웹 3대 요소 - HTML, HTTP, URI 웹 개발자라면 꼭 알아야하는 웹 3대 요소인 HTML, HTTP, URI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 웹 (Web) 개념 - HTML 개념 - HTTP 개념 (WS, WAS, 웹 구조 및 동작) - URI 개념 웹(Web : World Wide Web) 이란? World Wide Web의 줄임말 이며, WWW또는 W3라고도 부릅니다. 🌐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웹 3대 요소 웹을 구성하는 3대 요소로 HTML, HTTP, URI 이 있습니다. HTTP는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며, URI은 웹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로 리소스(자원) 요청 후, HTML이 담긴 응답을 맡으며 웹 클라..

[WEB] HTTP 렌더링, 웹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HTTP 렌더링, 웹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HTTP정의와 렌더링 정의 그리고 웹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 - HTTP 정의 - 렌더링 정의 - 웹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웹(WWW)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HTML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와 주고 받는데에 쓰인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HTML)이나 그림 정보를 요청(Request)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Response)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정보가..

[WEB] 웹 브라우저 동작원리 와 과정

웹 브라우저의 동작 과정 및 원리 웹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 하는지? 그리고 그 원리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아래는 웹 브라우저의 동작 과정을 이미지로 정리 한 것이다. 웹 브라우저의 동작 과정 위 이미지 순서도와 함께 과정에 대해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무슨 소리야? 할 수 있겠지만.. 자주 읽고 보다보면 언젠가 아! 하는 날이 오니까 다들 화이팅.. 합시다.. 1. 브라우저 주소창에 URL 입력 후 ENTER를 하면, 2. 브라우저는 해당 URL과 매핑되는 IP주소를 찾기 위해 Cache를 통해 DNS 기록을 찾는다. 3. 요청한 URL이 Cache에 존재하지 않으면, ISP의 DNS서버는 IP 주소 정보를 찾기 위해 DNS 쿼리를 한다. 4. IP 주소를 받은 브라우저는 서버와의 TCP(전..

[WEB] HTTP 요청 데이터를 확인 하는 법 - httpbin.org 사용법

HTTP , HTTPS 요청 httpbin.org 활용하기 http://httpbin.org/#/ 이거 진짜 진짜 유용하니까 꼭- 꼭- 제 블로그 내용 읽어보시고 사용해보세요 지금 회사에서 다양한 업체 API를 연동하는 일을 주로 하고있는데, Jersey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회사에서 만든 유틸을 활용하여 HTTP 요청을 하고있다. 내가 보내고 싶은 요청의 형태는 아래와 같다. POST 방식으로 파라미터(Parmas)가 아닌, 바디(Body)에 JSON형태로 보내고 JSON 타입이라는걸 명시를 해줘야 해서 헤더(Headers)에 Content-Type=application/json 를 추가해서 보내고 싶었다. 회사 유틸을 활용해서 필요한 값들을 바인딩하여 HTTP 요청을 했는데, 업체 API에서 500에..

[Git] 소스트리(SourceTree)로 프로젝트 클론(Clone) 하는 방법

소스트리(SourceTree)로 프로젝트 클론(Clone) 하는 방법  소스트리(SourceTree)를 이용해서 깃 저장소에서 프로젝트를 클론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클론하는 방법은 어렵지는 않고, 한번 따라 해보면 매우 간단하지만 자주 하지 않다보면 헷갈리는 부분들이 있기 때문에 정리를 해두었습니다 :)가끔 기억 안날때 이 포스팅을 읽어주세요 ! 🔍개념 정리 1. 소스트리란(Sourcetree) ?  프로젝트 개발시 협업 할 때 가장 필요한 버전 관리 시스템(또는 형상 관리 도구) 중 하나로 깃(Git)이 있습니다.깃과 관련하여 가장 권위 있는 도구 중 하나로 손꼽히는 프로그램으로 소스트리가 있습니다. 즉, 소스트리는 Git을 쉽게 사용 및 관리 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소스트..

[IT] 하드코딩(Hardcoding)과 소프트코딩(Softcoding)이란?

하드 코딩(Hardcoding)과 소프트 코딩(Softcoding) 이란?   개발 병아리 시절에 나는 내가 하드 코딩을 하는지, 소프트 코딩을 하고 있는지 인지를 못했다.솔직하게 말하면, 하드코딩이 편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하드코딩 위주로 개발을 했었다.하지만 하드코딩과 소프트코딩에 대한 개념 및 장점,단점을 알게 된 이후로 하드코딩이 필요한 곳만 하드코딩을 하고 웬만하면 소프트 코딩으로 하려고 노력을 한다!아무튼 하드코딩과 소프트코딩에 대해서 잘 모르는 나같은 초보 개발자들도 있을거라고 생각하여 정리를 해본다.  하드 코딩, 소프트 코딩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코딩(Coding)'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코딩의 사전적 의미1. 어떤 일의 자료나 대상에 대하여 기호를 부여하는 일.2. 작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