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5

[Redis/Server] 레디스 설치 및 비밀번호 설정

내 컴퓨터(로컬)에 레디스 설치 및 비밀번호 설정하는 방법 레디스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레디스 개념 부터 알아보고 가자 =3 레디스란 ? Redis : Remote Dictionary Server key-value구조의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다. 사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될 수도 있고, Cache Server로 사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물리 디스크에 직접 쓰기 때문에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여 다운되더라도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다. 하지만, 매번 디스크에 접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부하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있다. Cache Server를 사용하면, Cache Server로 Redis를 이용할 수 있다. ..

Server 2024.01.22

[WEB/Server] DNS 2탄 - DNS서버 종류, DNS쿼리, DNS레코드

DNS 2탄 DNS - Domain Name System (도메인 네임 시스템) DNS 서버 종류, DNS 쿼리, DNS 레코드 개념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네임 시스템)는 IP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우리가 인터넷을 편리하게 쓸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영문/한글 주소로 이루어진 도메인을 IP 네트워크에서 찾아갈 수 있는 IP 주소로 변환해준다. 즉,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 시켜주는 시스템이다. ➡️사용자들은 jobkorea.co.kr 또는 goole.com 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통해 웹 주소에 접근 하려고 할 때, 웹 브라우저 DNS 서버에 대해 DNS 조회를 수행하여 호스트 이름을 제공한다. 그리고 DNS서버는 호스트 이름을 가져와서 웹 브라우저가 연결할 수..

Server 2024.01.03

[WEB/Server] DNS 1탄 - IP주소, 도메인,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개념

DNS 1탄 IP주소, Host(호스트), Domain(도메인), 도메인 구성요소, DNS(Domain Name System - 도메인 네임 시스템) 개념 DNS는 백엔드 개발자라면 무조건 필수적으로 알아야하는 개념이기때문에, 어려워도 완벽하게는 아니더라도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를 하고 넘어가는것이 좋다. 본격적인 시작을 하기 전에, DNS(Domain Name System)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 시켜주는 시스템 이다. DNS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기 전에 IP 주소, 도메인 이름 개념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IP Adress (IP주소) ?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타블릿, 서버 등등)들은 각각의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주소이며 숫자로 구성..

Server 2024.01.02

[WEB/Server] 도메인(Domain),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도메인 구조

도메인(Domain),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도메인 구조 도메인, 도메인네임, 도메인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프론트, 백엔드 개발자라면 꼭 알아둬야 하는 필수 지식이고 면접에 자주 나오는 단골 질문이기도 하다 🔸 도메인(Domain) 이란? 웹 사이트를 찾기 위해 웹 브라우저 창에 입력하는 문자로 이루어진 주소이다. 🔸 도메인 이름(Domain Name) 👉🏽 Google 의 도메인 이름은 ‘google.com’ 또는 'google.co.kr' 이다. 통신망 환경에서 컴퓨터나 통신 장비 간 통신에 최적화된 주소 체계는 IP주소( IP Address )이다. IP Address 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서버 등등)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주소이다. ..

Server 2023.12.15

[Server] 푸티(PuTTY)와 리눅스의 개념 그리고 기본 서버 명령어

푸티, 리눅스  기본 서버 명령어 정리  푸티 개념, 리눅스 개념 그리고 리눅스 서버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다. 푸티(PuTTY) 란? SSH, Telnet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운영체제에 접근할 수 있는 CLI환경의 터미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리눅스 서버에 원격으로 SSH를 통한 접근을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SSH란? 시큐어 셀(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킵니다.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서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

Server 2023.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