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티, 리눅스 기본 서버 명령어 정리
푸티 개념, 리눅스 개념
그리고 리눅스 서버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다.
푸티(PuTTY) 란?
SSH, Telnet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운영체제에 접근할 수 있는 CLI환경의 터미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리눅스 서버에 원격으로 SSH를 통한 접근을 위해 많이 사용됩니다.
SSH란?
시큐어 셀(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을 가리킵니다.
즉, 네트워크 프로토콜 중 하나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Public Network를 통해서
서로 통신을 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Telnt(텔넷)이란?
텔넷은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서버는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단말 장비를 통해서 원격으로 접속하여 작업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윈도우 또는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도 서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단말장비가 아닌 논리적인 가상 단말기를 제공해줍니다.
리눅스 서버와 푸티를 같이 사용하면,
원격 서버에 SSH를 통해
안전한 원격 액세스를 설정하고 터미널 환경에서 서버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즉, 푸티는 리눅스 서버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파일 전송 및 기타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툴(TOOL) 중 하나 입니다.
공식 사이트에서 푸티를 쉽게 다운받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Linux)란?
리눅스는 운영체제(OS)의 종류중 하나 입니다.
하드웨어에서 다양한 애플리캐이션을 돌리기 위한 기본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또한 오픈 소스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이기 때문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만큼 신뢰성이 높은 소프트웨어입니다.
스크립트를 통해 많은 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어서
운영하는데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UNIX계열 운영 체제(OS)로 시작하여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 의해 개발 및 유지보수가 된다.
리눅스는 '리눅스 커널' 을 의미하는데,
커널이란?
운영체제 중심에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보통 리눅스커널이라고 하면
'리눅스라는 운영체제의 중심에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리눅스커널과 함께 기본적인 명령어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묶어서
사용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패키징한 것이 리눅스 배포판이라고 합니다.
예) Ubuntu, CentOS, Red Hat, Debian 등
리눅스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클라우드 서버, IoT 디바이스, 개인용 데스크톱 컴퓨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서버에서 로그를 확인할 때 서버 명령어를 이용해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제일 자주 사용하는 기본적인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기본적인 리눅스 서버 명령어
cd : Change Directory
디렉터리 변경 즉, 경로이동
cd ../ : 경로 나가기
ex) cd /폴더명/폴더명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 경로 표시
즉, 현재 경로 위치 확인
ls : List
현재 디렉터리 내의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을 표시
즉, 현재 경로 파일 목록 조회
ll : 현재 경로 파일 목록 조회 및 최근 로그 시간
tail -f 파일명 : 실시간 로그 조회
ex) tail -f adminLog.log
grep '검색하고 싶은 문자' 파일명 : 검색하고 싶은 문자열 검색
grep - A 숫자 - B 숫자 '검색하고 싶은 문자' 파일명 :
- A 숫자 : 숫자 만큼 AFTER 문자열 추가 검색
- B 숫자 : 숫자 만큼 BEFORE 문자열 추가 검색
==> 개별 또는 둘 다 동시에 사용 할 수 있다.
ex) grep -A 5 -B 5 'adress' adminLog.log
gzip -d 파일명 : 압축 파일 해제
그리고,
명령어 뒤에 --help나 man 명령어를 사용하여 명령어의 자세한 정보와 옵션을 확인할 수 있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dis/Server] 레디스 설치 및 비밀번호 설정 (4) | 2024.01.22 |
---|---|
[WEB/Server] DNS 2탄 - DNS서버 종류, DNS쿼리, DNS레코드 (4) | 2024.01.03 |
[WEB/Server] DNS 1탄 - IP주소, 도메인,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개념 (0) | 2024.01.02 |
[WEB/Server] 도메인(Domain),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도메인 구조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