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

[WEB/Server] 도메인(Domain),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도메인 구조

somuxsomu 2023. 12. 15. 14:30

 

도메인(Domain), 도메인 네임(Domain Name), 도메인 구조

 

 

도메인, 도메인네임, 도메인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프론트, 백엔드 개발자라면 꼭 알아둬야 하는 필수 지식이고

면접에 자주 나오는 단골 질문이기도 하다

 


🔸 도메인(Domain) 이란?

 

웹 사이트를 찾기 위해 웹 브라우저 창에 입력하는 문자로 이루어진 주소이다.

 


🔸 도메인 이름(Domain Name)

 

👉🏽 Google 의 도메인 이름은 ‘google.com’ 또는 'google.co.kr' 이다.

 

통신망 환경에서 컴퓨터나 통신 장비 간 통신에 최적화된

주소 체계는 IP주소( IP Address )이다.

 

 

IP Address 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서버 등등)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주소이다. 

 

👉🏼115.68.24.88 (IPv4) , 2400:cb00:2048:1::c629:d7a2 (IPv6)

 

 

하지만,

IP 주소는 복잡한 숫자로 이루어져 사람이 기억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런 단점을 보완해 등장한 것이

문자 주소 체계인 Domain Name(도메인 이름) 이다.

 

 

도메인은 IP주소와 상호 맵핑 되는 구조를 가진다.

( IP Adress ↔ Domain name )

 

도메인 이름 조건

도메인은 영어(a~z), 숫자(0~9), 특수문자 (-)의 글자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영어의 대소문자 구분은 하지 않으며,

특수문자는 '-' (하이픈, 대쉬) 만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 - ' 기호는 도메인의 처음과 끝에 넣을 수 없다.

 

도메인 이름과 URL의 차이점?

웹 주소라고도 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는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과 전송 프로토콜 및 경로를 비롯한 기타 정보가 포함된다.

 

👉🏽 https://google.com/mail

 

 

https  프로토콜

 google.com 도메인 이름

/mail  특정 페이지의 경로이다.

 

도메인 이름과 호스트 이름의 차이점?

 

도메인 이름은 컴퓨터의 이다. 즉, 웹 서버를 대표하는 것 : ‘naver.com

호스트 이름은 컴퓨터의 이름(별명) 이다. : ‘email’ , ‘blog’

 

도메인 이름  parent  http://naver.com
호스트 이름 child http://email.naver.com
 http://blog.naver.com

 

한글 도메인의 장,단점?

 

도메인을 영문이 아닌 한글로 사용할 수 있는데, 

한글로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장점 단점
외우기 편하다. 웹 포털 사이트를 등록하기 위해서,
퓨니코드로 변환된 문자를 등록해야 한다.
  해외에서 접속이 어렵다.
한글 인코딩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글자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글을 모르는 사람의 경우, 접근성이 떨어진다.

 

 

DNS가 한글을 처리하기 위하여

영어, 숫자, 하이픈(-)으로 이루어진 

퓨니코드(Punycode)의 형태로 변환된 후 DNS 서버에 전달 및 저장된다.

 

한글 도메인을 등록할 경우

퓨니코드 변환기를 통하여 "xn--"로 시작하는 퓨니코드로 변환된 값을 등록 해야한다.

 

 👉🏽 www.긴급재난지원금.kr —> www.xn--jj0bb2kr6h965bxcbp8g.kr

 

도메인 이름 등록 기관

 

웹사이트를 만들고 싶은 사람 누구나

도메인 이름을 도메인 이름 등록 대행자를 통해 등록할 수 있으며

현재 등록된 도메인 이름은 3억 개 이상이다.

 

 도메인 네임 등록 대행자 (Domain Name Registrar)

 

일반 최상위 도메인(gTLD) 레지스트리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레지스트리 (ccTLD)에 의해

공인된 기구 또는 사업체로 지정된 도메인 네임 레지스트리 지침에 따라

인터넷 도메인 이름의 등록을 관리하고, 도메인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 가비아, 다우기술, 메일플러그 등

 


🔸 도메인 구조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도메인은 전 세계적으로 고유하게 존재하는 이름이기 때문에,

정해진 규칙 및 체계에 따라야 하며, 임의로 변경하거나 생성 될 수 없다.

 

도메인들은 나무를 거꾸로 한 역트리(Inverted Tree)구조 계층적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Root, Top-Level-Domain, Second-Level-Domain, Lower-Level-Domains 이루어져 있다.

 

 

최상위 도메인 (TLD:Top-Level-Domain)

루트 영역의 다음 단계로 도메인 이름에서 마지막 점(dot) 다음에 오는 것을 최상위 도메인(TLD)라고 한다.

최상위 도메인은 일반 최상위 도메인 (gTLD) 와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ccTLD) 로 구분이 된다.

 

👉🏽 예) 도메인 이름 ‘goole.com’ 에서 ‘com’이 TLD이다.

 

일반 최상위 도메인 (Generic TLDs : gTLd)

특별한 제한 없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도메인이며 등록자의 목적에 따라 사용한다.

 

com  기업과 같은 상용 조직을 위한 도메인
edu 교육기관들을 위한 도메인
net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와 관련된 시스템을 위한 도메인
org 다른 TLD에 속하지 않는 비정부 단체를 위한 도메인
int 국제 협약에 의해 만들어진 조직을 위한 도메인
gov 정부 기관이나 단체를 위한 도메인
mill 미국 국방성 관련 기관에서 사용하도록 정의한 도메인
arpa IP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매핑하기 위해 사용 되는 특수 도메인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Country-code TLDs : ccTLD)

 

 👉🏽 한국 도메인 예) https://한국인터넷정보센터.한국/

 

인터넷 상에서 국가를 나타내는 도메인으로 .kr .jp .us 등 영문으로 구성된 영문 국가 도메인이다.

또한 .한국 .중국 처럼 자국어 국가 도메인이 있다.

 

2단계 도메인 (SLD : Second-Level-Domain)

 

.com, .net, .org 등 과 같은 gTLD의 경우에는 SLD와 함께 사용하지 않고,

국가를 나타내는 .kr, .jp, .cn과 같은 ccTLD는 SLD를 함께 쓰기도 하고 쓰지 않기도 한다.

 

👉🏽 ‘google.co.kr’ 에서 ‘.co’는 SLD ‘.kr’은 TLD이다.

 

co 영리 목적의 단체, 기업체
go 정부기관
ac 교육기관
ne, nm 네트워크 관리 기관
or 비영리 기관
re 연구소, 연구단체

 

 

👉🏽 www.google.co.kr.

 

맨 끝의 '.' 은 Root 도메인이다. 모든 도메인의 Root가 같기 때문에 보통 생략된다.

맨 끝에 '.'을 붙이고 들어가도 정상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kr’ 은 Top-Level-Domain

’.co’ 는 Secnod-Level-Domain ’google’ 는 Thrid-Level-Domain 또는 도메인(컴퓨터)이름

’www’ 는 Fourth-Level-Domain 또는 서브 도메인 (하위)